popup zone

교수진

동국대학교 응용범죄학과
박상진학과장 교수
  • 연락처
    02-2260-3788
  • E-mail
    idsjsj2@dongguk.edu
  • 최종 학력
    동국대학교 경찰학 박사
  • 전공 분야
    경찰학
  • 박사학위 과정
    동국대학교 경찰학 박사
  • 대표 저서
    최응렬 외 공저, 「경찰학개론」(제3판), 대영문화사, 2024
    송병호·박상진·김현동 공저, 「경찰학입문」(제3판), 박영사, 2020
    김상균 외 공저, 「영화 속 범죄심리」, 박영사, 2017
    공정식 외 공저, 「손에 잡히는 교정학」, 한국심리과학센터, 2016
    공정식 외 공저, 「심층분석 범죄심리학」, 한국심리과학센터, 2016
    공정식 외 공저, 「회복하는 피해자학: 사건사고와 재난재해 그리고 정신건강」, 한국심리과학센터, 2016
  • 대표 논문
    Lee, E.・Park, J.A.・Park, S.J.・Cho, Young Il (2025). A Comparison of Traditional Delinquency and Cyber-Delinquency: General Strain Theory and Community Protective Factors. 「Deviant Behavior」, 46(1), 68-81. https://doi.org/10.1080/01639625.2024.2329989


    강나미・박상진 (2025). 범죄피해자 원스톱 솔루션센터의 실효성 확보 방안. 「한국테러학회보」, 18(2), 74-93.
    오승연・박상진 (2025). 성범죄 관련 사건에서 성인지 감수성의 재판에서의 변화양상 - 판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연구」, 21(2), 85-98.
    이정민・박상진・조성진・김성정 (2025). 경찰특공대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테러학회보」, 18(1), 53-71.
    이순구・박상진・류용현 (2025). 경찰 개방형 임용제에 관한 연구: 해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민간경비학회보」, 24(1), 69-89.
    이순구・박상진・류용현 (2025). 경찰관서장 개방형 임용 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과 수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4(1), 191-216.
    장신모・박상진・류용현 (2025). 긴급응급조치 판단조사표 사례 분석을 통한 스토킹 범죄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21(1), 225-238.
    박대철・박상진・조성진 (2025). 경찰 수사관 조직몰입 향상에 관한 질적 연구: 수사 환경 변화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27(1), 193-216.
    박상진・조성진 (2025). 성인 자살생각 영향 요인 연구: 애그뉴의 일반긴장이론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26(6), 26-48.
    유효은・박상진 (2025). 조직의 정치적 분위기가 경찰관의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3(4), 223-252.
    조성진・박상진 (2025). 살인범죄자 양형 영향요인 연구 - 남녀 집단 차이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연구」, 20(3), 141-154.
    조성진・박상진 (2025). 살인범죄 양형요인 성차 연구: 피해자 남녀 집단 중심으로. 「한국테러학회보」, 17(3), 184-203.
    홍가혜, 홍서아, & 박상진. (2023). 법원의 사이버 학교폭력 판단요소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보, 13(2), 87-103.
    백주민, & 박상진. (2023). The Effects of Cybercrime Investigation Agents’ Career Choice and Career Satisfaction on Educational Implementation. 한국테러학회보, 16(1), 134-154.
    박상진. (2022).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테러학회보, 15(4), 95-116.
    조성진, & 박상진. (2022). 자녀 범죄두려움의 설명모델 비교연구. 한국경찰학회보, 24(6), 25-56.
    조성진, & 박상진. (2022). 범죄피해와 지역무질서의 자영업자 범죄두려움 영향 분석. 한국범죄심리연구, 18(3), 113-128.
    조성진, & 박상진. (2022). 학교 폭력 및 사이버 폭력 피해가 사이버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중화기술과 탈억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24(3), 29-60.
    박상진, & 최재준. (2022). 전남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테러학회보, 15(1), 34-56.
    박상진, & 우창흡. (2022). 집단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일탈적 생활양식과 학교폭력 경험 연구.
    이재영, & 박상진. (2021). 경찰공무원의 폭력피해 두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17(4), 177-190.
  • 경력
    [주요 경력]
    2022 – 현재.  한국보험범죄연구원. 원장
    2022 – 현재.  인사혁신처 공무원 재해보상심의위원회. 위원
    2021 – 현재.  동국대학교 융합보안학과. 부교수.
    2021 – 현재.  한국안전사회연구원 부원장
    2021 – 현재. 동국대학교 융합보안학과 부교수
    2021 – 현재. LINC 위원, 환경안전연구센터장, 입학사정관
    2010 – 2021. 세한대학교 경찰행정학과 부교수
    2009 – 2010. 백석문화대학교 경찰경호학과 조교수
    2008 – 2009.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연구원

    [주요 대외 경력]
    2025 ~ 현재. 가평군청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2025 ~ 현재. 강남구청 공공디자인위원회 위원
    2025 ~ 현재. 서울시 평가위원회 위원
    2024 ~ 현재. 서대문구청 인사위원회 위원
    2023 ~ 현재. 은평구청 공공디자인위원회 위원
    2023 ~ 현재. 충청북도교육청 인사위원회 위원장
    2022 ~ 현재. 한국보험범죄학회 부회장
    2022 ~ 현재. 한국보험범죄연구원 원장
    2022 ~ 현재. 인사혁신처 공무원 재해보상심의위원회 위원
    2021 ~ 현재. 경기도교육청 행정심판위원회 행정심판위원
    2021 ~ 현재. 한국안전사회연구원 부원장
    2021 ~ 현재. 서울시 중구청 보조금심의위원회 심의위원
  • 과제수행
    2024 가정폭력·학대 등 피해자보호 업무 담당 전문 위탁교육, 경찰청.
    2023 교책연구기관 육성사업(융합안전학술원), 교책연구기관 육성사업.
    2023 수사단계에서의 스토킹 가해자 상담·교정프로그램 실효성 분석 및 운영모델 연구, 경찰청.
    2023-2024 지형 특성(CPTED 기반)을 활용한 상황 인식 기반 범죄발생가능성 예측과 예측 설명 제공 기술 개발 [1/3], 동국GRANT사업 2.0.
    2023-2024 AI 기반 스마트 리빙 안전 융합 기술 [1/3], 동국GRANT사업 2.0(전략연구단).
    2023 과학수사관 경력주기별 교육모델 개발 및 운영 체계 연구용역, 경찰청.
    2023 학대예방경찰관 전문 위탁교육, 경찰청.
    2022 교책연구기관 육성사업(융합안전학술원), 교책연구기관 육성사업.
    2022 복지 현황조사 및 특수건강검진 가이드라인 수립 연구용역 [1/1], 해양경찰청.
    2022 학대예방경찰관 전문화과정 위탁교육 [1/1], 경찰청.
    2021-2022 첨단기술 교육훈련 플랫폼 기술개발 기획연구, 해양경찰청.
이완희교수
  • 연락처
    02-2260-3658
  • E-mail
    davincidecoder@gmail.com
  • 최종 학력
    The University of Southern Mississippi 박사 (범죄학 전공)
  • 전공 분야
    테러리즘, 극단주의, 조직범죄, 마약, 청소년범죄
  • 학사학위 과정
    Murray State University 학사 (언론학 전공)
  • 석사학위 과정
    Sam Houston State University 석사 (범죄학 전공)
  • 박사학위 과정
    The University of Southern Mississippi 박사 (범죄학 전공)
  • 대표 저서
    「한국형사사법학」, 동국대학교출판부, 2022
    「한국범죄학」, 동국대학교출판부, 2022
    「한국범죄심리학 제2판」, 피앤씨미디어, 2022
    「형사사법정책론」, 그린출판사, 2019
  • 대표 논문
    Kim, Dongyeon; Kan, Yejin; Aum, YooJin; Lee, Wanhee; Yi, Gangman(2023). Heliyon, v.9, no.10, pp.1 – 16. https://doi.org/10.1016/j.heliyon.2023.e20931
    Park, H., Lee, W., Park, S., Lee, J., Kang, S., & Jung, J. (2023). Testing stability of self-control over time among South Korean Youth using semi-parametric group-based
    modeling.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150.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23.106952

    예용동,이완희 (2025). 서울지역 범죄예방을 위한 경찰 드론 운영전략한국경찰학회보, v.27, no.2, pp.37 – 66.
    신재우・이완희 (2023). 미국 마약 통합 관리 시스템을 통한 한국의 마약정책 고찰. 「한국범죄심리연구」, 19(4), 79-96.
    신재우・이완희 (2022). 우리나라 마약류범죄의 특징과 마약밀수 현황. 「한국범죄심리연구」, 18(4), 83-102.
    김수민・이완희・정재훈 (2022). 성폭력 전자감독대상자의 준수사항 위반과 억제이론의 엄격성 요인과의 관계. 「한국경찰학회보」, 24(1), 89-111.
    Cho, Y., DioGuardi, S., Nickell, T., & Lee, W. (2021). Indirect cyber violence and general strain theory: Findings from the 2018 Korean youth survey.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121
    김수민・이완희 (2021). 안전에 대한 개념정립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0(4), 315-340.
    강소영・이완희 (2021). 스토킹처벌법상 구성요건의 적용 및 한계. 「한국경찰학회보」, 23(6), 249-276.
  • 경력
    [주요 경력]
    2019 –현재.  동국대학교 융합보안학과. 교수. 2013 – 2019.  가천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주요 대외 경력]
    2004 – 2006.  Institute for the Study of Violent Groups (ISVG) . 수석연구원.
  • 과제수행
    2024 가정폭력, 학대 등 피해자보호 업무 담당 전문 위탁교육. 경찰청
    2024 메타버스 시대의 새로운 메커니즘에 따른 법제도적 대응방안(II)-메타버스 관련 법적 침해에 따른 형사법 및 형사정책 분야 대응방안 연구.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23 - 2024 복합테러 대응 인지훈련을 위한 VR·AR 훈련평가시스템 기술 개발 [4/5]. 동국GRANT사업2.0
    2023 - 2024 지형 특성(CPTED 기반)을 활용한 상황 인식 기반 범죄발생가능성 예측과 예측 설명 제공 기술 개발[1/3]. 동국GRANT사업2.0
    2023 과학수사관 경력주기별 교육모델 개발 및 운영 체계 연구용역. 경찰청
    2023 학대예방경찰관 전문 위탁교육. 경찰청
    2022 복지 현황조사 및 특수건강검진 가이드라인 수립 연구용역. 해양경찰청.
    2022  경찰관기동대의 효율적 운용모델과 현장대응력 제고 방안 연구용역. 경찰청.
    2021 – 2022  첨단기술 교육훈련 플랫폼 기술개발 기획연구. 해양경찰청.
    2021  복합테러 대응 인지훈련을 위한 VR.AR 훈련평가시스템 개발. 동국대학교.
    2021  지역주민 참여형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법무부.
    2021  해양테러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해양경찰청.
    2021 XR기반 복합테러 대응 교육훈련 시스템 구축 2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 2021 공공안전분야 개념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공공안전연구원.
    2020   XR기반 복합테러 대응 교육훈련 시스템 구축 1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전자감독 대상자 분류 및 위험성 평가도구 개발. 법무부.
    2020   스마트교정시설 도입에 관한 마스터 플랜 수립. 법무부.
    2019 – 2020 경기도 청소년범죄 현황과 예방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경기도시의회.
    2019 – 2020 범죄예방정책국 조직관리 혁신 방안 연구. 법무부.
    2019 – 2020 우수연구자 지원과제. 가천대학교.
    2019  경찰대학 치안분야 공공데이터 수집 및 활용방안 연구. 경찰청.
김연수교수
  • 연락처
    02-2260-3657
  • E-mail
    kimys36@dongguk.edu
  • 최종 학력
    동국대학교 경찰학 박사(범죄학전공)
  • 전공 분야
    범죄예방, 피해자학, 과학치안, 경찰정책평가, 경찰교육
  • 학사학위 과정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경찰학사
  • 석사학위 과정
    동국대학교 경찰학 석사(형사학전공)
  • 박사학위 과정
    동국대학교 경찰학 박사(범죄학전공)
  • 대표 저서
    노성호 외 공저, 「피해자학」(제3판), 그린출판사, 2025
    김연수 외 공역, 「크리미널 퓨처스 : 예측 치안과 일상의 경찰업무」, 윤성사, 2024
    심희기 외 공저, 「형사사법 입문 : 범죄와 형벌」(제4판), 박영사, 2023
  • 대표 논문
    Nam, Y., Wolfe, S.E., & Kim, Y.S. (In Preparation). “A Longitudinal Study Examining Predictors of Officers’ Training Motivation, Receptivity, and Outcomes”, (R&R).
    Hong, S., Hull, K.A. Yoon, M., Kim, D., & Kim, Y.S. (18 Feb 2025). “Gender Differences in Fear of Crime: Analyzing the Impact of Various Levels of Factors in South Korea”, Victims & Offenders, in Press (http://doi.org/10.1080/15564886.2025.2467887)
    Kuen, K., Johnson, D., Ra, K.H., Kim, Y.S. (2025) “Public support for expanding DNA databases: Police empowerment and the normative and instrumental models of police legitimacy in South Korea”, Policing and Society 35(2): 236-254. (http://doi.org/10.1080/10439463.2024.2396880)
    Lee, S. & Kim, Y.S. (2023) “Do cultural values influence how we perceive the police? Examining the cultural impact of Confucian values on the perception of police legitimacy”, Policing : 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e Strategies and Management. 46(5/6): 846-860. (https://doi.org/10.1108/PIJPSM-04-2023-0055)
    Choi, J.Y. Kruis, Nathan E., & Kim, Y.S. (2020) “The Impact of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Victimization on Job Burnout Among South Korean Correctional Officers”,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47(7): 905-923. (https://doi.org/10.1177/0093854820923024)

    김연수 (2025). 수사경찰에 대한 CSI 효과 연구 - 과학수사 압박과 DNA 증거분석에 대한 인식 「경찰학연구」, 25(3) (In Press)
    노희주・김연수 (2025). 온라인 공간의 익명성과 집합효율성은 온라인 사적제재 참여를 유도하는가?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4(2), 165-196.
    오승연・김연수 (2025). 퀴싱(Quishing)의 범죄피해 메커니즘 연구: 기회이론 및 사회공학적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산업보안연구」, 15(1), 45-67.
    노희주・김연수 (2024). 온라인 사적제재 참여 유형에 따라 개인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차이가 있는가? 「한국범죄학」, 18(3), 143-162.
    김도선・김연수 (2024). 사회심리적 요인이 온라인 사적제재 참여경험에 미치는 영향 - 공정세상신념, 샤덴프로이데, 도덕적 과시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35(4), 93-119.
    김도선・김연수 (2024). 시민의 경찰정당성 인식이 AI CCTV 기술수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3(4), 31-62.
    김남규・김연수 (2024). 형사사법제도에 대한 인식이 사적제재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심리연구」, 20(4), 53-68.
    김도선・김연수 (2024). 과학수사관의 핵심역량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경찰학회보」, 26(3), 129-158.
    노희주・김연수 (2024). 경찰 과학수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제도 개선방안 - 해외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3(2), 119-152.
    이재영・김연수 (2023). 현장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경찰 교육훈련 개선방안 - 신임경찰 교육훈련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25(5), 209-237.
    김도선・김연수 (2023). 증거의 증명력 판단에 대한 미디어 효과 연구: 법과학 증거 평가 편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2(3), 69-102.
    김남규・김도선・노희주・박다윤・김연수, (2023). 스토킹 행위자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제도의 도입 방향과 고려사항 「형사정책연구」, 34(2), 67-98.
    김가은・김연수 (2023). 스토킹 피해 위험성 자가진단과 피해자 보호 서비스 연계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2(2), 1-34.
    김도선・김연수 (2023). 학업중단 청소년의 비행 영향요인 연구 : 복학 여부와 봉새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25(3), 79-106.
    김도선・함영욱・김연수 (2022). “사이버 수사경찰의 피해자다움 고정관념과 영향요인 - 조직 내 성차별 문화와 개인의 양가적 성별의식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24(6), 87-116.
    김가은・김연수 (2022). 피해자를 비난하는 여성에 관한 연구: 온라인 여성혐오 심각성 인식과 여성혐오표현 노출정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피해자학연구」, 30(3), 163-190.
    김연수 (2022). 범죄두려움의 해석수준과 심리적 거리 연구 - 위험해석모델의 확장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21(2), 59-86.
    김승현・김연수 (2022). MZ세대 신임순경의 입직동기와 기대사회화 「한국경찰학회보」, 24(2), 303-330.
  • 경력
    [주요 경력]
    2017.03 ~ 현재.  동국대학교 범죄학과 부교수/정교수
    2018.09 ~ 현재.  동국대학교 융합보안연구소 센터장
    2022.03 ~ 2024.08.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원 과학치안전공 전공주임
    2017.03 ~ 2019.02. 동국대학교 고시반 지도교수
    2011.03 ~ 2017.02.  전주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조교수

    [주요 대외 경력]
    2024-현재. 경찰청 치안산업진흥협의회 위원.
    2023-현재.  제6기/제7기 과학수사자문위원회 위원.
    2023-현재.  통계청 제4기 한국범죄분류 자문위원회 위원
    2023-현재.  서울시자치경찰위원회 다중운집행사 안전관리 전문위원단 위원
    2018-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경찰청 협업 사업추진위원회 위원
    2022.   경찰청 경찰대혁신 T/F 위원
    2021-2023.  경찰청 피해자보호추진위원회 위원
  • 과제수행
    [융합연구]
    2025-2028 생성형 AI 기술 혁신의 역기능과 사용자 위험요인 대응 정책 방안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SSK) 지원사업 글로벌아젠다연구, 한국연구재단.
    2023-2025 범죄현장 생체증거 효율적 검출을 위한 발광/발색형 나노입자 탐지물질 기반 증거물 특정 기술 개발, 미래치안도전기술연구개발사업, 경찰청.
    2022-2025 [2단계] 스마트 커뮤니티 폴리싱 시스템(Googi) 개발, 한국연구재단.
    2020-2021 [1단계] 스마트 커뮤니티 폴리싱 시스템(Googi) 개발, 한국연구재단.
    2024-2025 안전한 스마트 시티를 위한 디지털 트윈 기반 셉테드(CPTED) 오픈 소스 시뮬레이터 연구, 동국혁신융합연구.
    2021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지원 사업,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 걸음걸이 패턴 등 영상분석과 이동성 모델 등을 융합한 실종자 수색 및 용의자 추적 기술개발 연구기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책연구]
    2024 법무부 범죄예방 환경개선 사업 효과성 분석, 법무부.
    2023 과학수사관 경력주기별 교육모델 개발 및 운영 체계 연구, 경찰청.
    2023 총경 지휘역량평가 고도화를 위한 평가지표 및 평가 가이드 개발, 경찰대학.
    2022 범죄예방 관련 산업 및 기술 실태조사, 경찰청.
    2021-2022 경찰서 수사부서 업무진단 표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경찰청.
    2021 중앙경찰학교 인프라 개선방안 연구, 경찰청.
    2021 가상사설망(VPN) 이용 범죄현황 분석 및 사업자 관리 방안 연구, 경찰청.
    2020-2021 범죄두려움에 대한 이해의 확장: 해석수준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중견연구과제, 한국연구재단.
이재영교수
  • 연락처
    -
  • E-mail
    datdat0318@dongguk.edu
  • 최종 학력
    동국대학교 경찰학 박사
  • 전공 분야
    경찰학, 범죄학, 피해자학
  • 학사학위 과정
    동국대학교 법학과 법학사
  • 석사학위 과정
    동국대학교 경찰학 석사
  • 박사학위 과정
    동국대학교 경찰학 박사
  • 대표 저서
    「피해자학」, 그린, 2011
    「Handbook on Identity-related Crime」,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2
  • 대표 논문
    이재영. (2024). 경찰활동과 인권침해에 대한 시민인식 -시나리오 설문을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연구, 20(4), 177-194.
    이재영·김연수 (2023). 현장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경찰 교육훈련 개선방안. 한국경찰학회보, 25(5), 207-236.
    이재영·유영재. (2023). 경찰의 인권보호 활동에 관한 연구-경찰관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2(2), 247-286.
    이재영. (2023). 경찰의 인권보호 정책에 대한 시민인식. 한국범죄심리연구, 19(4), 143-156.
    이재영·이승현. (2022). 경찰공무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직무만족, 폭력피해 경험과 두려움을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연구, 18(4), 183-198.
    이재영. (2022). 국가인권위원회 결정례에 나타난 경찰 인권침해의 특성. 한국경찰학회보, 24(6), 197-222.
    이재영·이승현. (2022). 경찰관의 절차적 정의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1(3), 261-286.
    이재영. (2021). 경찰공무원의 폭력피해 과정과 영향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 35(4): 115-153.
    이재영·박상진. (2021). 경찰공무원의 폭력피해 두려움에 관한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17(4), 177-190.
    이재영. (2021). 경찰공무원의 폭력피해 영향요인 분석. 경찰학 연구, 21(2), 75-104.
    이재영·김연수. (2020). 범죄피해자의 경찰 신변보호 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22(1), 261-288.
    이재영·김연수·엄유진. (2020). 경찰관과 피해자의 범죄피해자 신변보호 서비스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22(4), 365-396.
    이재영·박상진. (2020). 해양경찰 교육생들의 학업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16(4), 181-194.
    이재영·김연수. (2020). 쌍방향 범죄피해자 보호서비스에 대한 기술수용모델 적용. 한국경찰학회보, 22(6), 113-144.
    이재영. (2019). 언론보도에 나타난 여성 범죄피해자 비난에 대한 연구. 경찰학 연구, 19(3), 153-184.
    이재영. (2019). 여성살해 보도에 대한 프레임 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8(4), 317-348.
  • 경력
    2024 – 현재.  충청남도 자치경찰위원회 위원(2기)
    2024 – 현재.  한국경찰학회 윤리위원장
    2023 – 현재.  서울시자치경찰위원회 다중운집행사 안전관리 전문위원단 위원
    2012 – 2025. 8.  세한대학교 경찰행정학과 부교수.
    2014 – 현재.  경찰간부후보생 및 순경 채용시험 출제위원
    2019 – 현재.  인사혁신처 국가공무원 5급, 7급 시험 출제위원
  • 과제수행
    2021 중앙경찰학교 인프라 개선방안 연구, 경찰청.
    2019-2020 경찰공무원의 피해자화에 관한 연구: 경찰직무 수행 중 폭력피해의 원인과 과정을 중심으로, 신진연구과제, 한국연구재단.
    2021-2023 인권친화적 경찰활동에 관한 연구: 경찰 인권침해 실태와 원인 분석, 인권친화적 경찰활동 전략을 중심으로, 중견연구과제, 한국연구재단.
    2024-2026 여성경찰관에 대한 혐오의 실제와 대응에 관한 연구, 중견연구과제, 한국연구재단.
배용주교수
  • 연락처
    -
  • E-mail
    hbyj1@hanmail.net
  • 최종 학력
    연세대학교 사법공안 석사
    경찰대학교 2기 졸업
  • 전공 분야
    형사법
  • 대표 논문
    배용주(2011). 강력사건해결을 위한 수사인프라구축방안,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사법공안전공
    배용주(1997). 정보사회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경찰행정 전공
  • 경력
    2021 ~ 2023: 경찰공제회 이사장
    2019 ~ 2020: 경기남부경찰청장
    2018 ~ 2019: 경찰청 수사국장
    2017 ~ 2018: 광주경찰청장
    2016 ~ 2017: 경찰청 보안국장
    2015 ~ 2016: 경찰청 과학수사관리관
    2014 ~ 2015: 경찰청 수사연구원장
    2011 ~ 2014: 서울경찰청 형사과장
    2011: 경찰청 사이버센터장
    2010 ~ 2011: 서울성북경찰서장
    2008 ~ 2009: 광주광산경찰서장
    2006 ~ 2007: 보성경찰서장
    2005: 부산경찰청 보안과장
이준섭교수
  • 연락처
    -
  • E-mail
    junebook@naver.com
  • 최종 학력
    영남대학교 법학 박사
  • 전공 분야
    법학
  • 학사학위 과정
    영남대학교 법학과 학사
  • 석사학위 과정
    한양대학교 행정학 석사
  • 박사학위 과정
    영남대학교 법학 박사
  • 대표 논문
    이준섭(2011). 집회의 자유와 경찰권 행사에 관한 연구 : 선진 집회제도를 위한 법·제도적 방안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공법학과
  • 경력
    前 경찰대학장(2019)
    前 인천·대구경찰청장(2017, 2020)
    前 경찰청 외사·보안국장(2016, 2018)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