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논문
Nam, Y., Wolfe, S.E., & Kim, Y.S. (In Preparation). “A Longitudinal Study Examining Predictors of Officers’ Training Motivation, Receptivity, and Outcomes”, (R&R).
Hong, S., Hull, K.A. Yoon, M., Kim, D., & Kim, Y.S. (18 Feb 2025). “Gender Differences in Fear of Crime: Analyzing the Impact of Various Levels of Factors in South Korea”, Victims & Offenders, in Press (http://doi.org/10.1080/15564886.2025.2467887)
Kuen, K., Johnson, D., Ra, K.H., Kim, Y.S. (2025) “Public support for expanding DNA databases: Police empowerment and the normative and instrumental models of police legitimacy in South Korea”, Policing and Society 35(2): 236-254. (http://doi.org/10.1080/10439463.2024.2396880)
Lee, S. & Kim, Y.S. (2023) “Do cultural values influence how we perceive the police? Examining the cultural impact of Confucian values on the perception of police legitimacy”, Policing : 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e Strategies and Management. 46(5/6): 846-860. (https://doi.org/10.1108/PIJPSM-04-2023-0055)
Choi, J.Y. Kruis, Nathan E., & Kim, Y.S. (2020) “The Impact of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Victimization on Job Burnout Among South Korean Correctional Officers”,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47(7): 905-923. (https://doi.org/10.1177/0093854820923024)
김연수 (2025). 수사경찰에 대한 CSI 효과 연구 - 과학수사 압박과 DNA 증거분석에 대한 인식 「경찰학연구」, 25(3) (In Press)
노희주・김연수 (2025). 온라인 공간의 익명성과 집합효율성은 온라인 사적제재 참여를 유도하는가?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4(2), 165-196.
오승연・김연수 (2025). 퀴싱(Quishing)의 범죄피해 메커니즘 연구: 기회이론 및 사회공학적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산업보안연구」, 15(1), 45-67.
노희주・김연수 (2024). 온라인 사적제재 참여 유형에 따라 개인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차이가 있는가? 「한국범죄학」, 18(3), 143-162.
김도선・김연수 (2024). 사회심리적 요인이 온라인 사적제재 참여경험에 미치는 영향 - 공정세상신념, 샤덴프로이데, 도덕적 과시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35(4), 93-119.
김도선・김연수 (2024). 시민의 경찰정당성 인식이 AI CCTV 기술수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3(4), 31-62.
김남규・김연수 (2024). 형사사법제도에 대한 인식이 사적제재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심리연구」, 20(4), 53-68.
김도선・김연수 (2024). 과학수사관의 핵심역량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경찰학회보」, 26(3), 129-158.
노희주・김연수 (2024). 경찰 과학수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제도 개선방안 - 해외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3(2), 119-152.
이재영・김연수 (2023). 현장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경찰 교육훈련 개선방안 - 신임경찰 교육훈련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25(5), 209-237.
김도선・김연수 (2023). 증거의 증명력 판단에 대한 미디어 효과 연구: 법과학 증거 평가 편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2(3), 69-102.
김남규・김도선・노희주・박다윤・김연수, (2023). 스토킹 행위자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제도의 도입 방향과 고려사항 「형사정책연구」, 34(2), 67-98.
김가은・김연수 (2023). 스토킹 피해 위험성 자가진단과 피해자 보호 서비스 연계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2(2), 1-34.
김도선・김연수 (2023). 학업중단 청소년의 비행 영향요인 연구 : 복학 여부와 봉새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25(3), 79-106.
김도선・함영욱・김연수 (2022). “사이버 수사경찰의 피해자다움 고정관념과 영향요인 - 조직 내 성차별 문화와 개인의 양가적 성별의식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24(6), 87-116.
김가은・김연수 (2022). 피해자를 비난하는 여성에 관한 연구: 온라인 여성혐오 심각성 인식과 여성혐오표현 노출정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피해자학연구」, 30(3), 163-190.
김연수 (2022). 범죄두려움의 해석수준과 심리적 거리 연구 - 위험해석모델의 확장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21(2), 59-86.
김승현・김연수 (2022). MZ세대 신임순경의 입직동기와 기대사회화 「한국경찰학회보」, 24(2), 303-330.
과제수행
[융합연구]
2025-2028 생성형 AI 기술 혁신의 역기능과 사용자 위험요인 대응 정책 방안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SSK) 지원사업 글로벌아젠다연구, 한국연구재단.
2023-2025 범죄현장 생체증거 효율적 검출을 위한 발광/발색형 나노입자 탐지물질 기반 증거물 특정 기술 개발, 미래치안도전기술연구개발사업, 경찰청.
2022-2025 [2단계] 스마트 커뮤니티 폴리싱 시스템(Googi) 개발, 한국연구재단.
2020-2021 [1단계] 스마트 커뮤니티 폴리싱 시스템(Googi) 개발, 한국연구재단.
2024-2025 안전한 스마트 시티를 위한 디지털 트윈 기반 셉테드(CPTED) 오픈 소스 시뮬레이터 연구, 동국혁신융합연구.
2021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지원 사업,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 걸음걸이 패턴 등 영상분석과 이동성 모델 등을 융합한 실종자 수색 및 용의자 추적 기술개발 연구기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책연구]
2024 법무부 범죄예방 환경개선 사업 효과성 분석, 법무부.
2023 과학수사관 경력주기별 교육모델 개발 및 운영 체계 연구, 경찰청.
2023 총경 지휘역량평가 고도화를 위한 평가지표 및 평가 가이드 개발, 경찰대학.
2022 범죄예방 관련 산업 및 기술 실태조사, 경찰청.
2021-2022 경찰서 수사부서 업무진단 표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경찰청.
2021 중앙경찰학교 인프라 개선방안 연구, 경찰청.
2021 가상사설망(VPN) 이용 범죄현황 분석 및 사업자 관리 방안 연구, 경찰청.
2020-2021 범죄두려움에 대한 이해의 확장: 해석수준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중견연구과제, 한국연구재단.